-
[2020.11.27] 저물어가는 영국과 중국의 “황금시대”
순조롭던 양국 관계, 어쩌다 이렇게 됐나 권의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0년대 중반 이후 영국은 최근까지 서구권의 그 어느 국가보다도 더욱 적극적으로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이어왔...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1.22] 서구를 향한 ‘욕망’, 동북아 연대는 어떻게?
동북아시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박해남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항저우에 가면 108미터 높이의 에펠탑을 볼 수 있다. 이 에펠탑은 19세기 중후반 파리 시장 오스만(Georges-Eugène...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1.13] 중국의 한푸, 문화판 ‘동북공정’?
한국에 남아있는 중국의 그림자 박성호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한복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다. 이러한 관심은 중국의 게임에도 나타난다. 중국의 게임사 페이퍼게임즈가 스타일...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1.06] 하버드 출신 박사가 동사무소에 취직한 이유는
정년 보장에 목숨거는 중국 청년들 천춘화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얼마 전 하버드대 생물물리학 박사 출신의 뤄린자오(羅林姣)가 광둥(廣東)성 선전(深圳) 난산(南山)구 타오위안(桃源)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30] 인류 최대 조사 사업, 중국 인구 조사하기
인구 대국도 피하지 못하는 인구 문제 김영신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20년 11월 1일 0시를 기해 중국에서 제7차 인구센서스(人口普査)가 시작된다. 이번 조사에는 700만 명 이상의 조사...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23] 4차 산업혁명, 5G 시대의 공자
근대 중국의 개혁가 강유위의 <논어>읽기 김현주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 교수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자, 그 세상의 생각을 바꾸어야 강유위가 살았던 청나라 말기에는 아편전쟁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16] 한반도 대학에 처음 부임한 중국인 교수를 아십니까
중국 역사 속 가장 약한 시기의 중국학 이용범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처음이었다. 서울에 중국인 교수가 온 것은 1927년 4월 5일, 스물 여섯 살의 웨이젠공(魏建功, 1901-1980)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10] 코로나19 시대, 한중 경제의 구원투수는?
‘언택트’경제가 창출한 새로운 수요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초빙교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비대면, 비접촉(언택트)’이 일상화된 가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03] 왜 중국은 서방에서 인정받지 못하는가
중국에서 입관학이 환영받는 이유는?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9년~2020년 중국의 웹상에서 ‘입관(入关, 루관)’과 ‘입관학(入关学, 루관학)’이라는 신조...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9.25] 화웨이 겨냥한 미국의 수출통제, 美기업에 오히려 독
미‧중 기술패권 전장(戰場) 속 한국은 어부지리?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미·중 간 기술패권 전쟁이 미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로 현실화 됐다. 하지만 수세에 몰린 중국보다 미국의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