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10.23] 4차 산업혁명, 5G 시대의 공자
근대 중국의 개혁가 강유위의 <논어>읽기 김현주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 교수 세상을 바꾸고자 하는 자, 그 세상의 생각을 바꾸어야 강유위가 살았던 청나라 말기에는 아편전쟁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16] 한반도 대학에 처음 부임한 중국인 교수를 아십니까
중국 역사 속 가장 약한 시기의 중국학 이용범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처음이었다. 서울에 중국인 교수가 온 것은 1927년 4월 5일, 스물 여섯 살의 웨이젠공(魏建功, 1901-1980)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10] 코로나19 시대, 한중 경제의 구원투수는?
‘언택트’경제가 창출한 새로운 수요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초빙교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비대면, 비접촉(언택트)’이 일상화된 가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10.03] 왜 중국은 서방에서 인정받지 못하는가
중국에서 입관학이 환영받는 이유는?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9년~2020년 중국의 웹상에서 ‘입관(入关, 루관)’과 ‘입관학(入关学, 루관학)’이라는 신조...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9.25] 화웨이 겨냥한 미국의 수출통제, 美기업에 오히려 독
미‧중 기술패권 전장(戰場) 속 한국은 어부지리?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미·중 간 기술패권 전쟁이 미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로 현실화 됐다. 하지만 수세에 몰린 중국보다 미국의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9.18] 코로나 팬데믹, 중국 고립 시기 앞당겼다
미중 패권 경쟁, 한국의 선택은 최재덕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한중정치연구소장 코로나 팬데믹의 끝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우리는 인류가 직면한 혼란에 대처하고 파생된 변수들을 파악하여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9.11] 중국에서 ‘찬란한 빛’으로 되살아난 전태일
중국 신(新)노동자와 전태일 정규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 신노동자와 전태일을 매개로 ‘말 걸기‘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과 탄압,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어 교육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8.28] 독립운동가의 육아일기, ‘제시의 일기’로 본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시의 일기 : 독립운동가 양우조와 최선화의 육아일기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제시의 일기 올해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독립전쟁을 선포한 지 100년이 되는 해다. 광복된 지 벌...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8.21] 시진핑이 ‘먹방’을 금지시키려는 이유는 이것 때문?
미중 갈등 속 ‘식량 안보’ 대비하나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먹는 방송, 일명 ‘먹방’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TV를 보다보면 먹는 것과 관련된 프로그...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8.15] 글로벌 팬데믹, 불경기 시대에 글로벌 리더 있나
미중 선택 강요 속 근본적 고민 필요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8년 7월, 미국이 340억 달러 가량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며 중국과 무역 전쟁이 시작됐다.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