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6.09] 검열과 희망, 다름과 연대
[2020.06.09] 검열과 희망, 다름과 연대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김산과 님 웨일즈

 

 

 

“만일 조선에서 오는 뉴스에 아무런 검열도 없다면, 저는 희망을 잃기 시작할 겁니다” 1937년 초여름, 옌안(延安)에서 조선의 혁명가 김산이 말했다. “지금 조선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고 있지 않잖아요”라는 님 웨일즈의 도발적인 질문에 맞선 대답이었다. 영어가 가능한, 중화 소비에트의 인사를 인터뷰하고 싶다고 찾아온 저널리스트를 상대로 김산은 검열이라는 단어를 거듭 사용한다.

 

분명 그는 검열의 작동을 전제하고 식민지 조선을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조선인은 지나칠 정도로 유순하고 체념적이라는 인상을 하나하나 반박하던 끝에 나온 말이었다. 이는 식민지의 실상은 제국이 보이고자 하는 것과 다르리라는 노련한 혁명가의 입장이었다.”조선사람이 싸우지 않은 날은 단 하루도 없었습니다.” 검열과 희망에 대한 형용모순적 상황은 제국의 억압 속에서 운신해야만했던 반식민 주체라면 이해가능하다.

 

김산은 단단한 식민권력이라는 검열의 세계에서도 식민지인이 희망했던 열망의 틈새를 엿볼 수 있다고 했다. 오히려 검열을 고려하지 않으면 식민지인의 진면목을 알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조선으로 오는 편지가 모조리 검열되더라도, 절대로 조선에서 뉴스가 새어가도록 내버려두지 않더라도, 역사는 예정된 때를 기다려 거세게 일어날 거라고 예언했다. 비록 그는 해방의 날을 맞이하지 못하고 유명을 달리했지만 말이다.

 

그러나 김산의 통찰은 님 웨일즈의 목소리로’지금-여기’도착할 수 있었다. 동북아시아를 떠돌며 피억압자의 해방을 위해 평생을 바친 조선의 남성 김산의 생애는 그와 전혀 상관이 없을 듯한 서구의 여성 님 웨일즈를 통해 역사화 되는 것이다. 애초 님 웨일즈는 조선과 조선인 자체에 관심이 있다기보다 역사를 만들고 있는 운동(movement)에 흥미 있다고 했다. 그러나 곧 식민지인 김산을 통해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게 된다.

 

이렇게’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불꽃 같은 삶’이라는 부제를 단 『아리랑』이 세상에 나왔다. 님 웨일즈 역시 1941년 미국에서 책을 출간했지만 그렇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다 1953년 일본에서 출간되어 세계명작 100선에 꼽혔고, 조선에서도 해방직후 1946년에는 『신천지』에 부분 연재되었다. 그러나 냉전시기 한국에서 다시 사라졌다가 1984년에야 전체 번역된 것이다. 김산의 생애만큼이나 녹록치 않은 여정이었다.

 

분명 김산은 일본이 패배하면, 일본 내 혁명이 얼어나고, 일본민중이 중국, 조선과 손을 잡고 강력한 민주혁명연합에 동참하리라고 했다. 그리고 소련, 지금의 러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이 전략적 중앙이 되면서 세계 정치력의 중심이 동양으로 옮겨질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의 바람은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못 다 이룬 아시아를 향한 연대와 희망의 메시지는 여전하다. 각 나라가 처한 검열적 상황과 서로 간 다름이라는 구속에서도 말이다.

 

김산이 검열과 희망의 역설을 이해했던 것처럼, 님 웨일즈는 억압받는 소수를 알아볼 눈을 가졌다. 이 비과학적인 감각이 정력을 낭비하게 하리라는 우려도 있지만, 결국 그는 하나의 커다란 중국보다 조선인 김산이라는 역사적 소수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이들은 검열이 있으면 희망이 없으리라고 단언하지 않고, 억압받는 소수만을 중요하게 생각해야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오히려 소수자의 위치에서만 다수자의 억압에 대항할 수 있다고 했다. 이렇게 김산과 님 웨일즈의 짧은 만남은 오늘날 타자를 향한 봉쇄의 마음이 일어날 때, 다시 한 번 들춰 봐야 할 불멸의 고전으로 남았다.

 

류진희(원광대 HK+ 동북아다이멘션연구단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