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2025.08.20] 한중관계연구원 유지원 원장, 중국통신사 인터뷰: 한중 청년 교류와 미래 협력 비전 | |
---|---|
한중관계연구원2025-08-20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이메일 프린트 |
한중 청년 교류: 국경을 넘어선 감정의 다리한중 수교 30여 년 동안 양국 관계는 경제·무역, 과학기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확대돼 왔다. 최근 청년 교류가 양국 관계 발전의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청년들은 국경을 넘어 교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대학 캠퍼스에서 디지털 공간, 문화 체험에서 혁신 창업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교류는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또 앞으로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 중신사 ‘中新社’은 한국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유지원 원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청년 교류의 의미기자: 청년 교류가 양국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한다고 보시나요? 유지원 원장: 청년 교류는 공공외교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통 외교를 보완할 뿐 아니라, 민간 신뢰를 유지하고 양국 국민 간 친밀감과 우호를 쌓는 역할을 하죠. 또 청년들은 사회를 이끌어갈 차세대 핵심 세력입니다. 오늘의 교류가 내일 양국 협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따라서 청년 교류는 양국 관계의 미래 방향에도 실질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청년 협력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양국 관계의 지속 가능성과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외부 요인으로 일시적인 냉각기가 오더라도, 청년들 사이에 형성된 견고한 민간 네트워크는 관계를 이어주는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게다가 청년들은 디지털 경제, 기후 변화, 인공지능 등 주요 글로벌 의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디지털화와 세계화 속 청년 교류기자: 디지털화와 세계화 속에서 한중 청년 교류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유지원 원장: 요즘 청년 교류는 확실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세 가지입니다.
중한 청년 교류 사례기자: 구체적인 청년 교류 사례를 소개해 주실 수 있나요? 이러한 사례가 문화 이해에 어떤 효과를 냈나요? 유지원 원장: 오랜 기간 동안 한중은 다양한 청년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들은 양국 청년 상호 이해와 문화 교류에 큰 역할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서울대·연세대와 중국 청화대·북경대 등 여러 대학 간 교류를 통해 학생들이 상대국에서 공부하며 오해와 편견을 줄이고, 감정적 신뢰를 쌓도록 했습니다. 또한 팬데믹 이후 재개된 다양한 교류 프로그램은 양국 청년 대표단이 서로 방문하고, 문화 체험과 기관 방문을 진행할 수 있게 했습니다. 혁신·창업 분야에서는 한중 청년 창업 포럼과 한국 혁신센터·중국 대학 공동 행사가 실질적인 창업 모델을 만들고, 혁신 교류와 글로벌 협력 경험을 쌓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청년들에게 직접 대화할 기회를 제공해, 미디어나 온라인에서 생긴 고정관념을 넘어 상호 존중과 신뢰를 쌓게 했습니다. 또한 정책, 환경, 경제 등 국제적 이슈를 함께 논의하면서 글로벌 시각을 키웠고, 문화 체험을 통해 언어 능력과 문화 공감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진심 어린 교류는 장기적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 신뢰와 문화적 친밀감을 높이는 기반이 됩니다. 일상 속 자발적 교류기자: 공식 프로젝트 외에, 청년들이 일상에서 하는 자발적 교류 방식도 있나요? 유지원 원장: 물론입니다. 최근 중국 드라마가 한국 청년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죠. 저도 역사 드라마를 즐겨봅니다. 《강희왕조》, 《옹정왕조》 같은 드라마를 보면 중국 역사와 문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반대로 한국의 대중문화 콘텐츠도 중국 청년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런 관심 기반 일상 교류는 그 어떤 교육보다 효과적입니다. 제가 학생들을 데리고 중국 교류를 진행했을 때, 학생들은 현지에서 중국 학생과 함께 생활하며 깊은 우정을 쌓았고, 떠날 때 눈물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런 진심 어린 인간적 교류가 편견을 깨고 민간 친선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언어와 문화가 달라도 진심은 국경을 초월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미래 전망기자: 앞으로 주목할 청년 교류 분야와 기대하는 성과는 무엇인가요? 유지원 원장: 앞으로 3~5년간 한중 인문·청년 교류의 핵심 키워드는 ‘디지털 융합’, ‘공동 문제 해결’, ‘감정적 상호 이해’입니다. 단순 교류를 넘어서, 함께 창작하고 실질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미래 발전의 청사진을 함께 설계할 수 있습니다. 청년은 양국 미래의 선구자입니다. 문화, 언어, 역사 장벽을 넘어 서로의 이야기를 진심으로 듣고 교류해야 이해와 존중의 공감을 쌓을 수 있습니다. 다른 문화를 갈등이 아닌 배움의 기회로 보고, 고정관념을 넘는 열린 마음으로 상대를 존중해야 합니다. 또한 청년들이 직면한 취업, 미래 불확실성 등 문제에 공감하고 함께 해결책을 찾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정치적 이슈보다 사람 간 진심을 우선시해야 합니다. 청년들은 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고, 미래에 진정한 이웃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교류는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미래를 더 잘 계획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유지원. 한국 고려대 졸업 후, 대만 대학과 대만 정치대에서 중국 근현대사(명청사)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원광대 사학과 교수,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한중역사문화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中韩青年交流:跨越国界的情感纽带中韩建交三十余载,两国关系在经贸、科技、文化等领域不断拓展。近年来,青年交流正成为推动双边关系发展的新动能,他们跨越国界,建立联系、分享理念、开展合作。 从大学校园到数字空间,从文化体验到创新创业,这种交流正在发生怎样的变化?又将如何助力两国关系的未来发展?近日,中新社“东西问”专访韩国圆光大学韩中关系研究院院长柳智元,就此深入探讨。 青年交流在两国关系中的作用中新社记者:您如何评价青年交流在两国关系中的作用? 柳智元: 青年交流是公共外交的重要组成部分,能够补充传统外交渠道,维持民间互信,增进两国民众之间的情感纽带与友好感情。同时,青年也是引领社会的下一代中坚力量,今天的交流很可能直接延续为未来两国的合作,对未来双边关系的走向产生实质影响。 青年合作之所以对未来尤其重要,还因为它关系到两国关系的可持续性。即便遇到外部因素导致的短暂冷却期,青年之间坚实的民间网络,依然是维系两国关系延续性的重要保障。此外,青年还是未来数字经济、气候变化、人工智能等重大议题的引领者,他们的合作不仅在韩中两国,在全球范围内也能发挥重要作用。 数字化与全球化下的青年交流中新社记者:您认为,在数字化与全球化的浪潮下,中韩青年交流发生了哪些转变?这些转变又为中韩青年交流带来哪些机遇? 柳智元: 在新时代背景下,韩中青年交流确实呈现出变化的趋势和广阔的前景。我认为这主要体现在以下几个方面:
中韩青年交流的典型案例中新社记者:您能否分享一些中韩青年交流的典型案例,这些案例在促进跨文化理解方面有哪些成效? 柳智元: 多年来,韩中持续开展了多种青年交流合作项目,对促进两国青年相互理解和文化交流发挥了重要作用。 例如,韩国的首尔大学、延世大学与中国的清华大学、北京大学等诸多高校间开展交流,让学生通过在对方国家学习,减少彼此的误解与偏见,建立情感信任。此外,在疫情后陆续恢复的各类交流项目,也让两国青年代表团得以互访,进行文化体验与机构访问。 在创新创业领域,韩中青年创业论坛、在华韩国创新中心与中国高校联合举办的多项活动,不仅产出了实际的创业模式,也积累了创新交流与全球协作经验。 这些交流项目在促进跨文化理解方面成效显著。首先,为两国青年提供了直接对话的机会,帮助参与者跨越媒体或网络社交平台带来的刻板印象,从而增进尊重与信任。其次,通过共同探讨政策、环境、经济等国际议题,这些项目提升了青年对全球事务的理解,培养了他们的国际视野。更重要的是,青年们通过亲身体验文化活动,不仅提升了语言能力,也增强了彼此的文化共情力。这些直接、真诚的交流,让两国青年能够建立起非正式但长期的协作网络,成为增进互信、提升文化亲近感的基础。 自发性交流方式中新社记者:除了官方主导的项目,您观察到两国青年在日常生活中还有哪些自发的交流方式? 柳智元: 除了官方项目,很多自发性的交流正在悄然发生。例如,我注意到中国电视剧在韩国年轻人中很受欢迎,我自己也很喜欢看。作为一名研究历史的学者,我尤其爱看《康熙王朝》《雍正王朝》这类历史剧,这让我对中国的历史文化有了另外一个视角的了解。同样,韩国的流行文化内容也深受中国青年喜爱。这种基于兴趣的日常交流,比任何说教都更有效。 在跨文化理解方面,没什么比亲身经历更有说服力。我曾带学生去中国交流,他们和中国学生一起学习、生活,建立了深厚的友谊。在离开中国的时候,很多学生都哭了,因为他们舍不得分别。这种人与人之间真挚的情感、这种充满温度的人情往来,正是打破偏见、增进民间友好的最佳方式。它让青年们认识到,即便语言不通、文化不同,人与人之间真诚的关系依然可以超越政治和历史议题。 未来展望中新社记者:您认为未来中韩青年交流最值得关注的领域是什么?您希望中韩青年通过交流获得怎样的共鸣与成长? 柳智元: 在我看来,未来三到五年,韩中人文与青年交流的核心关键词是“数字融合”“共同问题解决”“情感性相互理解”。重要的是要超越单纯的交流,建设共同创作与务实合作的平台,使两国青年在理解彼此文化的基础上,共同规划未来发展的蓝图。 青年是开创两国未来的先行者。只有跨越文化、语言、历史的界限,真诚倾听彼此的故事,进行真心交流,才能建立起理解与尊重的宝贵共鸣。我希望两国青年能够把不同文化看作是学习的机会,而不是冲突的根源;拥有超越固有成见与偏见的开放心态,承认彼此的差异并保持相互尊重;对两国青年普遍面临的就业、未来不确定性等困境相互共鸣,并携手寻找答案。 最重要的是,要将人与人之间真诚的关系置于政治议题之上。在交流中,韩中青年可以共同成长,努力成为未来真正的好邻居。同时,交流也为他们提供了更多机会,让他们在了解世界的同时,更好规划自己的未来。 受访者简介柳智元,毕业于韩国高丽大学,后在台湾大学和台湾政治大学先后取得中国近代史(明清史)硕士和博士学位。历任韩国圆光大学史学科教授、圆光大学韩中关系研究院韩中历史文化研究所所长等职,现任圆光大学韩中关系研究院院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