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8.10.10] 중국의 바쭤(霸座)
[2018.10.10] 중국의 바쭤(霸座)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개인의 일탈인가 사회적 책임인가

 

 

최근 중국 웹상에서 바쭤난(霸座男), 바쭤뉘(霸座女) 등 바쭤(霸座)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바쭤의 한국식 발음은 패좌로 여기에서 패는 ‘대단하다’ 혹은 ‘포악하다’ 등의 의미를 나타내며, 좌는 좌석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를 합친 바쭤는 기차, 버스 등의 대중교통 시설에서 남의 좌석을 무단으로 점거하는 행위를 말한다. 지난 여름 열차에서 벌어진 손모(孫某)의 바쭤사건 이후 각종 바쭤들이 연달아 등장하며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지난 8월 21일 손모(孫某) 씨는 중국 산동 지난에서 베이징으로 향하는 열차에서 한 여학생의 좌석을 무단으로 점거했다. 그는 “누가 번호대로 앉으라고 정했냐? 네가 서서 가든, 저쪽 자리에 가서 앉든 아니면 식당칸에 가서 앉든 하라”며 여학생에 대꾸했다. 심지어 열차장과 안전요원의 권유조차 무시하며 종착지인 베이징까지 버텼다. 이 사건이 웹상에 알려지자 전국적으로 분노와 비판의 소리가 쏟아졌다. 뒤늦은 사과도 흐름을 바꾸지 못했다. 바쭤난의 시작이다.

 

이 사건은 9월 초에 벌어진 스웨덴의 중국인 관광객 푸대접 논란과 함께 엮이며 중국 웹상에서 뜨거운 논란에 불을 지폈다. 중국인 관광객 푸대접 사건은 중국의 한 관광객이 새벽 노부모와 함께 스웨덴의 한 호텔에서 현지 경찰에 의해 쫓겨난 사건으로 그 원인과 책임의 소재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중국인 관광객의 비매너인가’ 아니면 ‘스웨덴 경찰의 지나친 대응인가’에서 시작된 논란은 외교부와 방송국이 엮이며 지금까지 현재 진행 중인 사건이다.

 

바쭤와 중국 관광객 논란에 대한 반응

 

이에 대한 네티즌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첫째는 이러한 사건은 개인의 일탈이자 사회적 문제라는 의견이다. 관련한 동영상이 퍼지며 ‘중국인은 안팎에서 망신이다’, ‘경제적 발전과는 다르게 아직은 국민적 소양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들을 처벌하는 법이나 규칙의 제정이 필요하다’ 등 공동체의 부족함을 부끄러워하거나 자책하는 목소리다. 그들은 중국의 정부나 사회는 적절한 처벌과 교육을 통해서 개인과 사회적 소양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둘째는 이러한 사건은 문제적 개인의 일탈이지 그들이 소속된 조직과 전체 사회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이다. 사람이 많다보면 각양각색의 사람이 존재하고 그들 중에는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란 논리이다. 이들에 따르면 중국의 인구는 15억 가량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은 그중 소수라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사례와 비슷한 문제가 소위 선진국이라고 하는 나라들에서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며 지나친 자학도 문제라고 덧붙인다.

 

개인과 사회는 서로 책임과 의무를 지닌다

 

과거 필자가 유학하던 시절, 학교에는 한국 유학생이 전체 유학생 중에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때문에 캠퍼스 내에서 눈에 띄기 쉬웠고 각종 문제를 일으켜 좋지 않은 소문과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었다. 같은 국가 출신으로 이에 부끄러움을 느껴 불평하던 필자에게 같이 수업을 듣던 친구도 비슷한 조언을 해준 적이 있었다. 어쩌면 그래서 위에 소개한 손모(孫某) 씨가 현재 원광대에 재학 중이라는 소식에도 예전과 조금 다른 반응을 보였던 것일 테다.

 

그런데 얼마 전 중국 대사관이 주최한 좌담회에 참석했을 때였다. 당시 부임한지 얼마 되지 않았던 교육 참사관은 필자가 원광대에 근무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여러 차례 그의 이름과 해당 사건을 언급했다. 지금 중국에는 한국 원광대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거라는 농담에 쓴웃음을 지으며 적당히 대답했지만, 돌아오는 내내 부끄러움과 씁쓸함에 마음이 편치 않았다. 같은 기관 소속이지만 제3자의 입장에만 머물며 외면하려고 했었던 시도가 결국은 실패한 것이다.

 

물론 개인과 조직이 서로의 문제를 온전히 책임질 필요는 없다. 하지만 서로가 서로에 영향을 주기에 일정한 책임을 지닌다. 소속된 조직과 사회는 그 책임을 다해서 적절한 관심, 조치, 교육, 환경 조성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도 자신의 행동이 조직과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영향을 준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 책임을 다해야 한다. 당연한 것인데 손모(孫某) 씨도 책임을 회피하던 필자도 이러한 사실을 잊었던 모양이다.

 

임진희 교수(한중관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