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7.03] ‘몽롱’한 중국을 바꾼 것은 ‘민중’
1930년대 중국의 키워드는 ‘아편’과 ‘혁명’ 이용범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천편일률의 중국 기행문들 1920~30년대 일본과 한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중국 여행기가 유행했다. 일본...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6.25] 흔들리는 미‧중‧일‧러 리더들, 남북관계 주도권 가질 절호의 기회
코로나 위기 속에 만들어진 기회 놓치지 말아야 최재덕 원광대 한중정치외교연구소장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여름철에 주춤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세를 이어가고 있...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6.19] 환경문제, 동양의 세계관으로 해결할 수 있다?
환경문제는 산업혁명 이전에도 있었다 김현선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를 계기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사스(SARS), 메르스(M...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6.12] 화가 한낙연을 아시나요?
독립의지, 예술혼으로 승화시킨 한낙연(韓樂然) 김주용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중국 허베이성 우한(武漢)의 유명한 건축물 황학루와 강한관은 수많은 중국인들이 사랑하는 곳이다. 강...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5.29] 코로나19 이후, ‘무인’(無人)의 시대 개막?
‘인간’없는 인간사회의 빛과 그림자 이가영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올해 초 춘절을 기점으로 중국 내 코로나 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면서 모든 학교의 개학...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5.25] 두 달이나 지나서 열린 중국 양회, 핵심 읽어내기
시진핑, ‘전면적인 샤오캉 사회 건설’ 할 수 있을까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초빙교수 통상 매년 3월이면 개최되던 중국의 최대 정치 행사 전국 양회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5.15] 코로나19 위기, 한중 협력으로 해답 찾아야
한 국가 역량만으로 코로나 위기 해소 불가능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지난 13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통화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번 통화 이후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5.08] 코로나19 이후, 중미 갈등 대처할 ‘K-백신’필요하다
외교적 폭풍 피할 수 있는 기지 발휘해야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코로나19 이후, 뜨는 한국과 지는 중국 한국에서 코로나19는 그 확산세가 꺾이면서, 사회는 점차적으로 안...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5.01] 배달의 민족 수수료 갑질, 중국에도 있다
‘플랫폼 경제’는 대안일 수 있는가? 정규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플랫폼 경제‘, 그 자체로 ‘공유경제‘는 아니다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4.24] 원조 ‘한류’는 중국인들의 ‘영화 황제’, 독립운동가 김염
중국 영화 황제 김염(金焰)의 아버지, 의사(醫師) 김필순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원조 한류 인물 김염 몇 해 전부터 한류 열풍이 참 대단하다. 가까운 일본, 중국, 동남아를 넘...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