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1.24] 중국, 디지털 화폐 패권국 꿈꾸나?
2020년, ‘암호법’ 꺼내든 중국 의도는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과 미국 간 통상 패권을 둘러싼 갈등은 지난해 연말이 되어 겨우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양국의 통상 갈등은 언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1.17] 차이잉원, 역대 최고의 성적표를 받았지만…
‘홍콩’변수로 얻은 승리, 계속 유지하려면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민진당 차이잉원 재선에 성공하다 지난 11일, 타이완에서 차기 총통(국가 원수 칭호)을 선출하는 선거가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1.13] 김구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이유
음수사원, 한중우의를 논하다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2016년 항저우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은 ‘음수사원(飮水思源)’이라는 글귀를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전했다. 뜻은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1.06] ‘노동’을 무시하는 ‘사회주의’ 중국
중국 ‘거버넌스 체계’개혁의 함의와 전망 정규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 공산당 19기 4중전회, ‘거버넌스 체계‘ 개혁 강조 미국과 통상 분쟁 지속과 홍콩 시위의...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2.28] 미중 무역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콩?
대두 경작 5000년 중국, 대두 수입국 된 이유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초빙교수 12월 미중 간 1단계 무역협의안이 타결되며 중국이 내년 5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농산물을 수입하는 데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2.20] 온고지신(溫故知新), 한중관계에 적용해 보자
2020년, 격동하는 동북아에서 한국의 전략은 유지원 원광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최근 한중 관계는 2016년 7월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태 발생 이후 전반적으로 경색됐다가 2017년 문...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2.16] 중국의 ’82년생 김지영’들
’82년생 김지영’들이 살아가는 세상 천춘화 원광대 HK연구교수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탄생과 영화화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2016)이 이번에는 영화로 제작...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2.09] 2020년에도 미중 무역 분쟁 계속될까?
미중 무역 분쟁에 대처하기 위한 자세 최재덕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정치외교연구소장 2019년에도 미중 무역 분쟁은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이들의 무역 분쟁은 보호주의 확산, 세계 무역량 감소,...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1.29] 글로벌 강대국, 중국의 꿈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미국의 ‘중국 때리기’에도 중국이 ‘기회’인 이유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ASEAN+5, RCEP 협정문에 합의하다 2019년 11월 4일 아세안 10개국과 한,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1.24] 미중 무역 분쟁, 중국에게 나쁜 것만은 아니다
지식재산권 보호하며 기술 무역시대 대비하는 중국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지난 2019년 6월 한국무역협회가 발간한 ‘트레이드 포커스'(Trade Focus)에 따르면, 한국은 최대...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