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10] 드넓은 중국, 주거방식도 다양하다
[2019.10] 드넓은 중국, 주거방식도 다양하다
한중관계연구원2021-01-29

드넓은 중국, 주거방식도 다양하다

 

중국은 약 960만㎢으로 세계 4위의 거대한 면적을 자랑함. 그만큼 다양한 민족들이 다채로운 생활양식을 가지고 살고 있음. 특히 각 지역별 기후와 고유의 문화가 만나 형성된 주거 방식은 특별함. 특수한 주거문화를 통해 중국 각지의 지역성을 이해해보도록 하자.

 

1. 스허위엔(四合院)

중국의 화북 지역, 특히 베이징 일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음. 시대가 지나며 지역별로 변형되어 중국 각지로 퍼진 한족의 전통 가옥임. 집안의 정원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되는 폐쇄형 가옥으로 ‘ㅁ’자 형상을 공간구성의 기본단위로 대문·이문(二門)·정원·당(堂)·실(室)·방(房)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대륙성 기후에 의한 한파와 황사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주목적임. 중앙의 정원으로 햇빛을 집중시켜 그 온도를 사방의 구조물들이 공유하는 중정형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남.

 

2. 훠얼우(镬耳屋)

광동 지역의 전통 가옥을 대표하며, 파란색 벽돌, 석조 기둥 및 석판으로 만들어진 ‘귀 모양’의 지붕 구조를 지닌 주택임. 귀 모양의 지붕이 만들어진 것에 대한 원인은 아직까지 정설로 자리잡은 것은 없으나, 귀가 부귀를 상징한다고 여겨지는 것에서 기인했다는 설과 귀 모양의 지붕이 남쪽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집의 열기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어 이런 모양으로 주택이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음.

 

3. 야오동(窑洞)

야오동은 토굴을 뜻함. 중국 북서부 황토 고원 지역의 고산족들이 사용한 거주방식임. 일년내내 일정 온도가 유지된다는 동굴의 특성으로 인해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함. 야오동은 약 4,000년 전에 생겼다고 추정되고 있으며, 황토고원의 영역에 해당하는 산시, 허난, 허베이, 내몽골, 간쑤, 닝샤 지방에 널리 분포되어 있음. 동굴은 거주용으로 사용, 입구는 아치형으로 돌이나 벽돌로 쌓아올린 후 황토를 발라 사용함.

 

4. 차오팡(草房)

동북지방은 아궁이와 온돌이 있는 초가가 지역 특유의 가옥임. 이 지역은 겨울에 추위가 강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영향권역으로, 이곳의 각 민족들은 특유의 방식으로 온돌을 활용함. 조선족은 방 전체에 온돌을, 한족은 침상에만, 만주족은 방의 ‘ㄷ’자 형태로 온돌을 설치함. 부엌 겸 거실인 정주간이 아궁이와 방 사이에 있으며, 저장고 및 우사가 실내에 배치되기도 함. 태양빛을 수용하기 위해 처마가 깊지 않다는 점에서 한국의 초가와는 차이가 있음.

 

5. 멍구바오(蒙古包)

우리에게는 ‘바오(중국어)’, ‘게르(몽골어)’로 잘 알려진 천막형 주거공간임. 전막(戰幕, ‘모직물로 된 천막’)이라는 말이 어원이며, 몽골, 내몽고,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볼 수 있음. 제단이나 불단을 정면 혹은 서북쪽에 배치하며, 출입구는 남쪽을 향하게 함. ‘하나’(울타리 지지대)라는 특수 목재 프레임에 2~3 층의 양모 펠트를 싸고, 말머리나 낙타털로 만든 밧줄로 묶어서 완성함. 상단의 둥근 정점에는 뚫린 공간을 만들고, 양모 펠트인 ‘우리 헤(Uri He)’를 통해 조명을 조절하고 환기를 시킴.

 

6. 간란스팡우(干栏式房屋)

윈난, 구이저우, 광시, 하이난 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좡족(壯族)의 주거형태임. 기존에는 화남지역 전반에 걸쳐 존재했으나 한족의 남하 이후 줄어들었다고 함. 고온다습한 아열대성 기후로 인해 통풍과 습기 방어를 위해 지상으로부터 떨어진 형태로 주택을 건설함. 지붕 역시 경사가 급하며 처마가 긴 형태로 만듦. 원활한 공기 순환과 폭우시 비의 하중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