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4.23] 스테레오 타입과 오타쿠 ‘이미지’
‘과연 그런가?’ 비판적 사고 중요 스테레오타입은 선입견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특정한 대상에 대해 사회적으로 고착화된 이미지를 일컫습니다. 스테레오타입은 사실여부와는 관계없이,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12.04] ‘모던 상하이’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상해! 상해! 흰옷 입은 무리들이 그 당시에 얼마나 정다이 부르던 도회였던고! 모든 우리의 억울과 불평이 그 곳의 안테나를 통하여 온 세계에 방송되는 듯하였고, 이 땅의 어둠을 헤쳐 볼 새로운 서광도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11.20] 2020년 춘완은 현재 진행형
중국 설날, 온 가족이 모여 즐기는 춘완 중국에서 설날은 춘졔(春節, 춘절)라고 부르며 일 년 중 가장 크고 중요한 명절이다. 중국은 땅이 넓기에 현재 고향을 떠나 다른 도시에서 일하고 있다면 고향으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10.16] 동서양 융합 연구, ‘동아시아식 체제모델’ 구상 토대
동아시아 경제발전 경로의 부상 ▲ 중국 상하이 야경 출처 : 중앙일보 20세기 후반 이래 중국과 동아시아는 정치경제적 팽창을 거듭하면서 세계 헤게모니 국가인 미국을 대체하는 세력권으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10.02] 역사 갈등 해결, 동아시아의 평화 공존 직결
지금 동아시아 평화를 말한다는 것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전 국민적 수준에서 일상이 된지 오래다.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빌미로 삼은 일본의 무역 보복 조처에 대해 우리 국민들은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09.24] 함께 가야하는 아시아를 위해
올림픽과 아시아 <응답하라! 1988>의 주인공 덕선은 1988년 9월 17일 열린 서울올림픽 개회식에 참가한다. 온 마을이 덕선을 자랑스러워했고. 올림픽을 신랄하게 반대하던 보라마저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09.10] 코미디 장르를 갈구하기 시작한 한국 영화관객
2010년대에 한국 영화 2019년 가을이다. 올해로 2010년대는 막을 내리고 내년에는 2020년대로 진입한다. 이 시점에서 2010년대의 한국영화에 대해 생각해 본다. 2010년에 <아저씨>(2010, 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09.02] 동아시아 왕좌게임 ‘패권전쟁’
‘불똥’ 걱정보다는 혁신의 기회로 삼아야 최근 미중무역분쟁을 비롯하여 일본의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조치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시아의 지역질서가 혼란스럽다. 중미무역분쟁과 한일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06.10] “맘껏 소리 지르고 한껏 뛰어볼 곳으로 나가자”
극동의 혁명 공간과 식민지 사회주의자들의 여정 그 당시 露西亞란 1917년의 커다런 국내 혁명과 그 뒤를 니어 이러난 連 3개년의 戰慄할 만한 대기근, 또 한 가지 세계자본주의 국가의 경제봉쇄 등으로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9.05.28] 중국이 세계를 연결한다?
중국의 ‘일대일로’ 2019년 4월 25일-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2회 일대일로 정상포럼이 개최되었다. 150여 개 국가와 90여 개 국제기구에서 5,000명에 가까운 사람이 참가하였고, 37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