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01.07] 박근혜, 미국 눈치 보느라 위안부 할머니 버렸다
1965년 한일 협정과 2015년 위안부 합의, 역사의 도돌이표 허재철 원광대학교 교수 북한의 수소 폭탄 실험이라는 매머드급 사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2월 28일 한일 외교 장관 회담에서 타결된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2.31] 중국, 이민족과 섞였을 때 잘나갔다
호한융합(胡漢融合)과 중국의 미래 임상훈 원광대학교 교수 중국은 56개의 민족이 공존하는 나라다. 하지만, 90%를 넘어서는 절대다수가 한족(漢族)이다보니 한어(漢語)와 한자(漢字)가 중국의 말...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2.25] 중국, FTA 체결하는 진짜 이유는?
한중 FTA 최종 발효…향후 과제는? 윤성혜 원광대학교 교수 2015년 12월 20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가 발효되었다. 본 협정이 6월 1일 정식 서명된 후, 약 6개월 만이다. 국회 비준도 별 탈 없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2.18] 위태위태한 북·중 관계, 고소한 일인가?
중국 신진학자들의 북한에 대한 비아냥 허재철 원광대학교 교수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중국 베이징(北京)에서는 의미 있는 한 포럼이 열렸다. ‘제1회 한중청년포럼’으로, 중국에서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2.11] 위안화 SDR편입, 중국 정부만의 축제 아니다.
중국 경제 의존도 높은 한국, 대처 방안 있나 신금미 원광대학교 교수 최근 중국 위안화의 SDR 편입이 큰 화제다. 지난 11월 30일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 통화 위안화의 특별인출권(SDR) 통화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2.03] 부이대·태자당, 중국의 금수저들!
천박한 자본주의 벗어나려면 임상훈 원광대학교 교수 최근 취업난과 생활고 등으로 한국 사회에 자조 섞인 목소리가 커지면서 ‘헬조선’ 등과 같은 신조어가 난무한다. 특히 계층 사이...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1.26] 환경을 놓고 벌이는 기싸움, 기후 변화 새 질서는?
중국, 신(新)기후 변화 체제 협상 주도하나 윤성혜 원광대학교 교수 11월 30일 프랑스 파리에서는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중대한 회의가 개최될 예정이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제21차 당사국총회(COP...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1.19] 미국과 중국 무력충돌? 우리의 선택은…
요동치는 동북아 정세 :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견제 이재봉 원광대학교 교수 요즘 동북아정세가 요동친다. 중국의 급성장과 도전에 따른 미국의 견제와 봉쇄 때문이다. 급속하게 떠오르는 중국과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1.12] 제일 유명한 중국 브랜드는? 샤오미가 아니라…
중국 기업의 브랜드 김진병 원광대학교 교수 지난 10월 5일 세계적인 브랜드 컨설팅 업체 인터브랜드는 ‘세계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를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와 같...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5.11.05] 중국 인공섬 비난에 편승한 한국…이어도는?
G2 시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때 허재철 원광대학교 교수 예상은 했지만 그 이상으로 숨 가쁘게 움직이고 있다. 차분히 생각할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중요 사건들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9월 중...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