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5.17] 가수 비 공연, ‘한한령’ 해제 신호인가?
한중관계, 사드가 문제가 아니다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9년 5월 15일, 중국 베이징에서 ‘아시아문명대화대회(亚洲文明对话大会, Conference on Dialogue of Asian Civilizations)’가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1.01] 새로운 도약을 꿈꾸는 하이난, 홍콩을 대체할 수 있을까?
방안 주요 내용 – 2025년까지 무역과 투자 자유화 실현을 위한 정책, 제도 체계 구축 – 2035년까지 무역, 투자, 자본, 인력, 화물 운송, 데이터 이동 자유화 실현 – 2050년까지 국제적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5.10] 북한에 대한 중국의 태도변화를 어떻게 생각할까?
변화하는 중국과 북한의 관계 심희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과 북한의 ‘혈맹관계‘ 2019년 2월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문 도출에 실패하고, 5월 4일 북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5.03] 중국 노동절 연휴 특수? 이제는 통하지 않는 이유
한국 관광산업, 이대로 괜찮나 최자영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 노동절이 변하고 있다. 2019년 5월 1일은 중국의 노동절이다. 중국의 노동절은 청나라 말기 중국의 처절한 노동...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20.07] 2020년 정부업무보고 키워드로 보는 중국
매년 3월 중국에서는 가장 큰 정치 행사인 양회(两会)가 개최된다. 하지만 2020년 중국 양회는 예년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다. 우선,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개최 시기가 세 달가량 연기된 5월이라는...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0] 일국양제로 알아보는 홍콩시위의 본질
일국양제로 알아보는 홍콩시위의 본질 홍콩시위가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시위대와 경찰 간 유혈 충돌이 발생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중국과 홍콩은 하나의 국가로 홍...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4.26] 중국 혁명성지, 연안에서 만난 조선인
정율성의 연안송을 듣다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1919년 11월 중국 길림시 중국인 반(潘)씨 성을 가진 집에서 단장 김원봉을 비롯한 13명의 투사들이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그후 의열단...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8] 중국의 차세대 산업을 이끌 유니콘 기업이 궁금하다.
중국의 차세대 산업을 이끌 유니콘 기업이 궁금하다. 최근 중국의 유니콘 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CB Insight는 매년 글로벌 유니콘 기업 리스트를 발표하고 있는데, 최근의 중국 유니콘 기업...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4.19] ‘사회주의 국가’ 중국에도 노동조합은 있지만…
중국 노동조합의 위기와 도전 정규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 ‘노동문제’를 연구하는 필자가 한국의 노동 관련 연구자와 활동가에게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가 “중국...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6] 화웨이 사태로 바라본 디지털 신냉전
화웨이 사태로 바라본 디지털 신냉전 2019년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점차 심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은 중국의 대표적 통신기업인 화웨이(华为) 및 통신 관련 첨단산업 전반에 대한 강...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