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04.13] 美·中, 세계를 향한 ‘갑질’을 멈추라
트럼프-시진핑, G2의 무게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지난 8~11일(현지 시각) 중국 하이난(海南)에서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보아오포럼(博鳌论坛)이 열렸다....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4.07] ‘패싱론’ 불식시킨 중국, 다음 행보는
시진핑-김정은의 역사적인 정상회담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지난 3월 25~28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다. 중국의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시진핑 총서기의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3.30] 중국에는 집을 공짜로 주는 도시가 있다
치열한 인구 쟁탈전에 지방도시 소멸 위기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향후 30년 내 한국의 228개 지자체 중 3분의 1 이상이 사라질 위기에 처...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3.23] 시진핑 장기집권? 중국 개헌, 무엇을 담았나
14년 만의 개헌, 그 내용은 김준영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은 지난 3월 11일 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全國人民代表大會, 이하 ‘전인대’로 약칭) 제1차 회의 제3차 전체회의에서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3.16] 지금이 북방으로 나갈 절호의 기회
한미-북미 정상회담, 평화체제 구축 계기 되길 최재덕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정치외교연구소장 지난해 5월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탔을 때 무심한 듯이 지나가는 길의 배경이 되어준 자작나무 숲과 호수들...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3.10] 14억 중국도 피하지 못한 ‘인구 절벽’ 위기
중국 산아제한 정책은 왜 실패했나 김준영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한 국가의 인구(人口)는 단순히 의식주 등을 소비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적 미래를 설계...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3.02] 중국과 바티칸, 결국은 손잡나
중국과 바티칸 시국의 관계는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8년 초, 다수의 매체가 중국과 바티칸 수교가 임박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과 바티칸은 그간 양측 외교 관계 수립에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2.25] 15년 동안 계속되고 있는 중국의 고민
중국이 부유하기 위해서는 농민이 부유해야 한다 신금미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이 새해 첫 발표하는 중앙1호 문건의 주제는 올해도 삼농문제였다. 이로써 2004년도부터 시작하여 올해까지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2.16] 중국은 14억 명을 어떻게 먹여살리려 하는가?
종자 산업에 박차 가하고 있는 중국 김준영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바나나의 불치병으로 불리는 ‘변종 파나마병(TR4)’의 확산에 전 세계 바나나 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국제연합식량...
한중관계연구원2021/01/27
-
[2018.02.09] 중국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국가는?
중국과 호주 사이, 무슨 일이 있었나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7년은 중국에 특별하고 중요했던, 그러나 한편으로 험난했던 한 해였다. 다양한 내부적 문제와 경제적 성장 정체에 한반도...
한중관계연구원202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