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11.15] 중국을 감동시킨 한국의 독립운동가들
다시, 태항산을 가다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2016년 여름 학생들과 함께 태항산 답사에 나섰다. 남장촌에서 석문촌으로 가는 길에 일행은 ‘눈에 호사’를 마음껏 누렸다.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1.04] 신장, 티베트, 홍콩과 하나의 중국
근대, 동아시아 그리고 중국의 민족주의 김하림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근대의 동력으로서의 민족주의 근대 이후 시공간의 문제를 다루는 데 ‘민족’ 내지 ‘민족...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0.26] 4차 산업과 중국, 그리고 노동자
중국 디지털 기술 발전과 노동 정책 변화 정규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중국 디지털 기술의 발전 현황 및 주요 정책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중국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0.12] 두 개의 ‘고토(故土)’, 유동하는 정체성
만주와 한반도 사이에 선 이방인들 천춘화 원광대 HK연구교수 “고토“ 1910년 1월 5일부터 3월 6일까지 《대한민보》에는 빙허자(憑虛子)란 이름으로 《소금강(小金剛)》이란 작...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10.04] GM 빠진 군산,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 특화 지역으로 거듭나야
새로운 시장질서, 누가 선점할 것인가 최자영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완연한 침체기에 들어서 있다. 2016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감소세는 뚜렷해졌으...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9.27] 중국, 건국 70주년 맞이했지만…
미국과 무역전쟁, 홍콩 시위 속 국경절 임진희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9년 10월 1일은 중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날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진 지 70주년이 되는 국경절(国庆节)...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9.22] 북한과 중국, 태생과 고락을 함께한 ‘형제적’ 관계
현대 북한중국 관계의 기원 조수룡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19년 10월 6일은 북중 수교 70주년 기념일이다. 양국은 이미 기념행사 준비로 분주하다. 10월과 11월에는 베이징과 평양에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9.06] 중국, 홍콩과 ‘하나의 중국’ 만들고 싶다면
홍콩 시위, 쉽게 잦아들지 않을 것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범죄인인도에 관한 법률 개정이 도화선이 된 홍콩의 민주화시위가 지난 3개월 동안 쉼 없이 뜨거워지고 있다. 그러던 와...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8.30] ‘사회주의’ 중국에서 ‘노동자’의 의미는
변화하는 ‘노동자’, 중국 사회 변화의 시작? 정규식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신시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와 ‘노동‘의 마주침 그동안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
-
[2019.08.23] 중국의 9월 18일, 9시 18분이 특별한 이유
국치일(國恥日)을 기억하라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친일의 길 필자는 20년간 만주지역 사적지 실태조사를 다니면서 현장에서 느낀 소감을 그때 그때 보고서로 정리하여 책으로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