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10.21] 한중 어업 갈등과 사드 갈등은 뿌리가 같다
격화되는 서해 충돌, 한중 관계 축소판 비잉다 산동대학교 중한관계연구중심 연구원 예전부터 어업 문제는 한중 양국의 주요 이슈였다. 그러나 근래는 갈등이 유독 빈번하게 발생하고, 관련 뉴스가...
한중관계연구원2021/01/25
-
[2018.10.10] 중국의 바쭤(霸座)
개인의 일탈인가 사회적 책임인가 최근 중국 웹상에서 바쭤난(霸座男), 바쭤뉘(霸座女) 등 바쭤(霸座)라는 단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바쭤의 한국식 발음은 패좌로 여기에서 패는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8.09.17] 중국 사람들은 어떤 스마트폰을 쓰는가?
스마트폰 구매 시 소비자들 ‘가격’ 매우 중시 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 삼성, 중국기업의 3개 진영의 각축장으로 변해가고 있다. 한동안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과 애플 간의...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8.09.03] 중국 사람들은 추석을 어떻게 보낼까?
중국 사람들은 추석을 어떻게 보낼까? 2005년 9월 중국 대학원에 입학했을 때이다. 가을 학기 입학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추석이 다가왔고, 법정 공휴일이 아니라는 사실에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8.05.31] 중국에서는 꽃미남을 뭐라고 부를까요?
중국에서는 꽃미남을 뭐라고 부를까요? 최근 중국에서 젊고 잘생긴 남자 연예인을 샤오셴로우(小鮮肉)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의 유명 포털 바이두(百度)의 설명에 따르면, 이는 2014년 무렵 쓰이기 시작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8.05.02]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
중국공산당의 군대 ‘인민해방군’ 중국공산당은 1921년 7월 23일 상하이의 작은 학교 기숙사에서 결성되었다. 그리고 1927년 8월 1일(인민해방군 창군 기념일) 중국공산당의 무력 세력인 ̵...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8.04.02] 한국엔 ‘가즈아!’, 중국엔 ‘피피샤, 워머저우’
중국의 신조어 최근 우리들 사이에서 ‘가즈아!’ 등의 신조어가 유행이듯, 중국도 마찬가지다. 2017년 말 기준,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가 7억 5천만 명을 넘는다고 하니 한 해 얼마나 많...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8.03.20] “내가 지옥에 가지 않으면 누가 지옥에 가겠는가”
저우언라이(周恩來 , 중국 인민의 영원한 총리) 지난 2018년 3월 5일은 중국 초대 총리이자 외교부장 저우언라이(周恩가 태어난 지 120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신중국 건국 70주년이 멀지 않은 2018년 그간...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7.12.05] 알아두자! 중국의 상표등록!
선출원주의와 속지주의 샤오미(小米)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 액세서리를 비롯하여 미 밴드, 미 체중계 등의 헬스케어 제품과 공기청정기, 에어컨, TV 등의 가전제품을 생산하는 중국 기업이다. 우리 학생...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
-
[2017.11.21] 사라진 기회의 사다리, 늘어가는 상대적 박탈감
중국의 ‘농민공(農民工)’ 중국에서 ‘농민공(農民工)’이라는 말은 개혁개방이 시작된 1980년대 초부터 나타났다. 개혁개방으로 일자리를 찾아 많은 사람들이 농촌에서 도시...
한중관계연구원202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