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4.05] 기후위기 시대, 파묘의 성공이 반가운 이유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파묘’의 오행론에서 우리가 읽어야 하는 것 이정하 |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 오컬트 영화로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천만 관객을 ...
한중관계연구원2024/04/08
-
[2024.03.29] 중국 양회, 시진핑 1인체제 완성만 있는 건 아니다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중국 양회를 통해 본 중국 사회 전망 김현주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교수 3월 4일 개막한 중국의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가 11일 폐막했다. 양회는 전국인민대표대회(...
한중관계연구원2024/03/29
-
[2024.03.23] 김구는 폭력적? ‘치하포 사건의 불편한 진실’이 불편한 이유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동북아 공생과 평화를 꿈꾼 백범 김구 이야기 김주용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제국주의 시대를 겪다 올해는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결정짓는 아주 중요한 국회의...
한중관계연구원2024/03/25
-
[2024.03.15] 소비와 투자, 두 마리 토끼 잡으려는 중국…환경은?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책임있는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신금미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초빙교수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5.2%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했다....
한중관계연구원2024/03/15
-
[2024.03.08] 중국-대만 긴장 높아지나? ‘관리모드’ 속 무력 사용 가능성도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신임 대만총통 취임, 양안관계에 미칠 영향은 김영신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미국과 중국의 대리전으로 여겨졌던 대만 총통선거가 끝난지 벌써 한...
한중관계연구원2024/03/12
-
[2024.03.01] 400년 전 서유기에 열광하는 중국인들, 대체 왜?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한국도 부패지수 D학점 ‘낙제’ 수준 김현주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교수 <서유기>는 중국 고대의 판타지 소설이다. <서유기>...
한중관계연구원2024/03/05
-
[2024.02.23] 아시안컵 16강 탈락한 중국, 클린스만 데려다 쓴다고?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중국 축구 세계 무대 도전, 실패로 끝나지 않으려면 권의석 |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 얼마 전 끝난 카타르 아시안컵은 개최국 카타르...
한중관계연구원2024/02/23
-
[2024.02.16] 러시아와 ‘레드라인’ 넘지 않는 위기 관리 필요하다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러시아 대선이 한반도와 국제관계에 미칠 영향 최재덕 | 원광대 한중정치외교연구소장 오는 24일이면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지 만 2년이 된다. 전쟁이 발생했을 당시...
한중관계연구원2024/02/19
-
[2024.02.10] 한국이 식량부족? OECD 중 최하위권, 식량안보 지키려면?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김자영 | 원광대 HK+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 인간안보의 주요 이슈 – 식량안보 <인간 개발 보...
한중관계연구원2024/02/13
-
[2024.02.02] 늙은 중국, 양로서비스 증가로 부상하는 실버경제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중국에서 나타나는 ‘실버경제’의 부상 김현주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조교수 중국 국가통계국에 의하면, 2022년 기준 중국의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2억 80...
한중관계연구원2024/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