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01.17]중국, 식량안보 핵심은 ‘콩’?
2021년 중국의 식량 생산량·수입량을 통해 본 식량안보 조정원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교수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021년 12월 25~26일에 개최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에서 ...
한중관계연구원2022/01/17
-
[2022.01.07] 중국, 미국을 상대로 디지털패권 장악할 수 있을까
중국, 미국을 상대로 디지털패권 장악할 수 있을까 [원광대 ‘한중관계 브리핑‘] CPTPP 국가들이 중국을 내칠 수만은 없는 이유 윤성혜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2021년 중국...
한중관계연구원2022/01/07
-
[2021.12.31] 시진핑, 중국 ‘항미원조’ 전쟁 되살리는 이유는?
중국, 애국적 대중문화 콘텐츠 제작 확대 의도는 무엇인가 한담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 연구교수 2021년 9월 30일, 국경절 특수를 겨냥하여 개봉한 ‘항미원조’ 블록버스터 <장진호(長...
한중관계연구원2021/12/31
-
[2021.12.27] ‘부유하지 않은데 늙어버린’ 중국, 중국만의 문제일까?
중국 인구 고령화, 해결책은 김현주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교수 2019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의 통계청에 의하면, 중국의 전체 인구는 14억 3400만 명이다. 이것은...
한중관계연구원2021/12/27
-
[2021.12.17] 중국 근대 농업의 개척자, 유자명
진정한 국제우인(國際友人), 유자명 김주용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 한국독립운동가의 직업군은 다양하다. 그 가운데 농학자로서 중국 근대 농업에 큰 영향을 미친 독립운동가로 유자명을 들 수 있다. ...
한중관계연구원2021/12/20
-
[2021.12.10] 중국, 이제는 돌려 줘야할 때
‘일반특혜관세제도‘와 중국의 지위 신금미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초빙교수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적용하는 제도를 일반특혜관세제...
한중관계연구원2021/12/10
-
[2021.12.06] 덩샤오핑을 능가하게 된 시진핑의 위상
역사결의(歷史決議)는 장기집권의 보증수표인가 김영신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연구교수 지난 11월 8-11일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공산당(중공) 19기 6중전회에서 중공 백년 역사상 세 번째 역사결의...
한중관계연구원2021/12/06
-
[2021.11.26] 잊혀진 서울대 중문과 초대(初代) 교수, 이명선
해방과 전쟁으로 인해 없어진 기억 이용범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연구교수 1946년 5월 5일, 서울대학교 중문과 교수 이명선은 자신의 연구실에서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선문사, 1946)의 서문...
한중관계연구원2021/11/26
-
[2021.11.22] 미중 정상회담 이후, 한국은 어디로
미중패권경쟁 양상과 유라시아 질서 변화 최재덕 | 원광대 한중정치외교연구소장 세계 각국은 일상으로 되돌아가려는 노력과 확진자 급증에 대한 우려가 혼재해 있다. 코로나 팬데믹은 여러 국가의 리더십...
한중관계연구원2021/11/22
-
[2021.11.15] 중국, 미국과 기후변화선언에도…석탄 연료 획기적 감소는 어렵다
중국의 에너지 정책과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입장 조정원 |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HK+교수 중국은 올해 여름부터 발생한 전력난으로 인해 에너지 정책과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국내 상황을 감안한 선택을...
한중관계연구원2021/11/15